반응형 전체 글102 만하임 악파의 거장 크리스티안 카나비히(1731~1798) 독일의 만하임악파를 대표하는 작곡가로 교향곡, 실내악곡, 발레 음악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작곡한 크리스티안 카나비히는 바로크에서 빈 고전파로의 가교 역할을 하였습니다. 오늘은 만하임악파의 거장으로 불리는 크리스티안 카나비히의 생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8세기 독일은 서양 음악의 주도적인 음악 선진국으로 발돋움하게 됩니다. 전 세대의 유럽 음악이 이탈리아와 프랑스, 오스트리아의 각축전으로 전개돼 화려한 오케스트라와 드라마틱한 오페라로 성가를 이뤘다면 18세기 들어 서서히 그 중심축이 독일로 옮겨지게 되고 그 핵심은 실내악의 주악기인 바이올린과 플루트가 주도하게 됩니다. 이처럼 18세기 독일 음악을 대표하는 작곡가이자 바이올리니스트, 지휘자인 카나비히의 활약은 단연 돋보이는 군계일학이었습니다. 카나비.. 2022. 8. 30. 음악의 천재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1756~1791) 인류 최대의 천재 작곡가 모차르트는 신이 내린 최대의 축복 등으로 불리는 위대한 작곡가입니다. 오늘은 음악의 천재라 불리는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음악 인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756년 1월 27일, 모차르트는 오스트리아의 잘츠부르크에서 태어났습니다. 그의 아버지인 레오폴트 모차르트는 잘츠부르크 대주교의 궁정 관현악단의 부악장이었는데 모차르트의 누나인 난네를을 어려서부터 가르쳤고 이를 모차르트는 지켜보았습니다. 세 살 때부터 모차르트는 누나가 하는 것을 보고 스스로 건반을 다루고 연주하는 법을 터득했습니다. 아버지 레오폴트는 어린 아들의 재주를 알아보았습니다. 그는 아들의 음악적 재능이 뚜렷이 빛을 발하게 되자 작곡하던 일을 그만두고 오로지 모차르트에게 피아노와 바이올린을 가르쳤습니다. 어린 .. 2022. 8. 29. 피아노의 아버지 무치오 클레멘티(1752~1832) 클레멘티는 연습곡과 소나타로 초기의 피아노 기교 발전에 공헌하여 '피아노의 아버지'라고 알려졌습니다. 처음으로 피아노가 등장하여 대중적인 인기를 누리기 시작할 즈음에 활동하며 많은 제자들을 키워냈습니다. 오늘은 피아노의 아버지라 불리는 무치오 클레멘티의 음악인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무치오 클레멘티는 이탈리아 음악이 '오페라'만 있는 것이 아님을 유럽 세계에 널리 알린 '피아노의 신동'이자 피아노 작곡가였습니다. 세계적으로 피아노의 거장이랄 수 있는 모차르트와 베토벤 모두 클레멘티에 대해 극찬을 아끼지 않았음을 우리가 피아노 하면 떠올리는 쇼팽이나 리스트, 라흐마니노프에 비해 그가 얼마나 과소평가된 인물인지를 미루어 짐작할 수 있습니다. 클래맨타는 1752년 이탈리아 로마에서 온 은세공 업자의 아들로 .. 2022. 8. 28. 오페라 음악의 아버지 안토니오 살리에리(1750~1825) "신이시여, 왜 저에게는 재능이 아닌 열정만 주신 것입니까!" 살리에리가 평생 자신을 괴롭힌 천재 작곡가 모차르트를 저주하면서 신을 향해 내뱉은 독백입니다. 하지만 그는 재능 없는 음악가가 아니라 베토벤을 비롯한 많은 음악가들의 은사였으며 당대 성악 기법의 정점에서 서있었음을 의심한 여지가 없습니다. 오늘은 오페라 음악의 아버지라 불리는 안토니오 살리에리의 음악과 인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살리에리는 베네치아 공화국의 레냐노에서 태어났습니다. 어렸을 때부터 형에게서 쳄발로와 바이올린 등을 배웠는데 음악적 재능에 상당한 두각을 보였다고 합니다. 그는 부모를 일찍 여읜 뒤 가세가 몰락하여 이탈리아 곳곳을 옮겨 다니며 살았습니다. 1766년 어려서부터 음악에 재능을 봉니 살리에리는 열네 살 때의 그를 눈여겨.. 2022. 8. 27.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26 다음 반응형